라이노 평가판 다운로드 및 설치 방법
라이노는 "1회용" 90일 평가판을 제공한다.
하나의 이메일이 있으면 90일간 라이노의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데,
이를 악용해 90일마다 이메일을 돌려가며 평가판만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었나보다.
그래서 예전과 달리 "1회용" 이라는 말이 앞에 붙게 되었다.
우선 라이노 공식 사이트(https://www.rhino3d.com/download/)에 접속한다.
윈도우즈라면 좌측, 맥북이라면 우측의 평가판 링크를 클릭한다.
바로 평가판 설치용 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건 아니다.
Rhino 계정에 로그인을 해야 하는데, 만약 계정이 없다면 계정을 만들어야 한다.
아래에 새 계정 만들기를 누른다.
이름과 이메일을 적고 새 계정 만들기를 누른다.
전화번호는 적지 않아도 된다.
단, 이메일로 확인링크가 발송되므로, 이메일에 절대 오타가 있어선 안된다.
이메일을 확인하라는 친절한 멘트까지....
이메일을 확인해보자.
띠용... 예전에는 바로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했는데
확인용 링크만 전달해준다.
파란 글씨를 클릭해보자.
링크를 눌렀더니, 유효성이 확인되었다는 말이 나온다.
원래 탭/창으로 돌아가라고 가이드한다.
오 이제서야 라이선스 키가 확인된다.
아래에 한국어 지금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프로그램이 다운로드 된다.
다운받을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설치가 시작된다.
설치 중 라이선스 키를 넣는 곳이 나오는데 그 때 RH70으로 시작하는 키를 입력하면 된다.
라이선스 키는 블록지정을 해서 복사, 붙여넣기가 가능하다.
라이선스 키를 입력한 후로 90일간 평가판을 사용할 수 있다..!
건축전문 온라인 교육플랫폼 페이서 / Rhino 7 시크릿노트
https://pacer.kr/product/1008/
Rhino 7 시크릿노트(R) - Pacer
7가지 예제를 따라 알고리즘 마스터
pacer.kr